리포트/반도체

과도한 주가 급락. 매수 기회로 판단 : 삼성전자(005930) - 목표주가 120,000(-)

느낌이(Feeling) 2024. 8. 11. 20:29
반응형

 

 

 

 

삼성전자 - 과도한 주가 급락. 매수 기회로 판단 (키움증권 : 박유악)

 

 

 

삼성전자 전일 -10% 급락. 역사적으로 드문 사례

 

1)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던 삼성전자의 주가가 8/6 -10% 급락했음.

 

2) 2000년 이후 삼성전자가 당일 -10% 이상 급락한 것은 총 7번이었는데, 이 중 6번은 닷컴 버블 당시(2000.4.17 -12%, 2000.9.22 -14%, 2000.10.11 -12%, 2000.10.17 -13%, 2001.1.26 -13%, 2001.9.12 -14%)에 발생했었음.

 

3) 나머지 한번은 금융 위기(2008.10.24 -14%) 때가 유일함.

 

4) 필자는 2005년 반도체 업계에 몸을 담고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 미-중 무역분 쟁과 코로나19 등을 겪어왔지만, 어제와 같은 주가 급락은 단 한차례만 겪었을 정도로 이례적이고 또 과도하다고 생각됨.

 

5) 시장 일각에서는 현재의 AI 열풍이 닷컴 버블 때와 비슷하다고 판단함.

 

6) 펀더멘털이 견조했던 닷컴 버블 초기의 삼성전자 주가 급락(2000.04.17 -12%)은 이후 한달 간 +25% 반등(4거래일간 +10%)하며 되돌림 됐던 것도 염두에 둬야 할 것임.

 

7) 금융 위기 당시에는 당일 저점을 형성한 후 4거래일간 +32% 급반등했음.

 

8)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주가 급락 원인을 'NVIDIA의 블랙웰 출시 지연', '경제 지표 둔화', 기타 수급적인 이슈 등에서 찾고 있지만, 이러한 이슈들은 삼성전 자의 펀더멘탈과 큰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지 않음.

 

 

 

 

하반기 영업이익 31조원, 시장 기대치 상회 전망

 

1) 올 하반기(2H24) 삼성전자의 실적은 매출액 166조원(+13%HoH)과 영업이익 31조원(+80%HoH)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FnGuide: 매출액 169조원, 영업이익 28조원)를 상회할 전망임.

 

2) 고부가 제품(HBM3, HBM3e)의 판매 비중이 확대되고, 범용 DRAM의 가격 상승률이 예상치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3) 또한, 삼성전자가 NVIDIA향 HBM3e의 양산 퀄에 성공할 경우, HBM 전환에 따른 공급 부족이 하반기 범용 DRAM의 추가 가격 상승으로 나타날 수 있음도 염두에 둬야만함.

 

 

 

 

목표주가 12만원, 반도체 업종 top pick 유지.

 

1) 삼성전자의 HBM 사업은 올 하반기 본궤도에 올라서며 상반기 대비 3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HBM 내 HBM3e의 비중도 60%로 급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2) 범용 DRAM의 가격 상승과 HBM3e 시장 진입이 삼성전자 주가의 반등 trigger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며, 목표주가 12만원과 반도체 업종 top pick을 유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