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 매수 기회. 목표가 상향 (미래에셋증권 : 이의진)
실적 전망 및 밸류에이션
1)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를 기존 240,000원에서 260,000원 으로 8% 상향함.
2) 예상보다 강한 메모리 가격 전망에 따라 24년/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 23.4%, 62.5% 상향했으나, HBM에서의 시장지배력 축소를 고려해 타겟 밸류에이션을 P/B 2.3배에서 2.1배로 하향 적용했음.
3) 실적 전망 및 밸류에이션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를 기존 240,000원에서 260,000원으로 8% 상향함.
4) 예상보다 강한 메모리 가격 전망에 따라 24년/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 23.4%, 62.5% 상향했으나, HBM에서의 시장지배력 약화를 고려해 타겟 밸류에이션을 P/B 2.3배에서 2.1배로 하향 적용했음.
5) 2Q24 실적은 매출액 16.4조원(QoQ +32.1%), 영업이익 5.5조원(QoQ +89.5%)을 기록했으며, 메모리 가격 인상(DRAM +15.2, NAND +16.0%)이 지속되는 가운데 HBM3E에 대한 매출액이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고 환율도 우호적이었음.
내년 시장 상황은 더욱 우호적
1) 25년 DRAM 수요 B/G(Bit growth)는 +23.0%로 전망되며, 경기 회복에 대한 명확한 전망이 어려운 상황에서 올해 B/G(+17.1%)보다 상승폭이 확대되는 부분이 고무적임.
2) 수요 증가의 주요 동력원은 컨벤셔널 서버 수요 회복과 HBM 수요 강세 지속임.
3) 25F 서버 DRAM B/G +25.0%, 그래픽 DRAM B/G +85.5%로 모두 올해 성장률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됨.
4) 컨벤셔널 서버의 대대적인 교체주기 도래에 따라 내년 서버 출하량은 10년래 최대 성장률 (+4.3%)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5) 글로벌 빅테크의 17 ~ 18년 대규모 투자 사이클 이후 서버 감가상각 내용연수가 3년 → 6년으로 연장되며 미교체 서버가 누적되어 온 결과로 추정됨.
6) 또한, 고객사의 Blackwell 플랫폼 본격 판매와 이후 Rubin 플랫폼으로 이어지며 가속기의 HBM 탑재량 증가율이 +85.2%로 올해의 성장률(+66.5%)을 초과할 것으로 기대됨.
7) 한편, 내년 DRAM 업계의 평균 Wafer capa 증가율은 14.5%에 그치며 수요 성장률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됨.
8) 업계의 Capex는 작년대비 +48.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금년 투자분은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집행되기 시작할 뿐 아니라 그마저도 인프라와 HBM 후공정에 집중될 것이기 때문임.
9) 상기 수급 동향에 따라 25년 DRAM의 공급초과율은 -9.3%로 올해(-5.1%)보다 타이트한 수급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10) 25년 DRAM 예상 가격은 올해에 이어 +40%대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11) 물론 회복하는 수요를 소화하고자 하는 칩메이커들의 경쟁적 증설이 뒤따르지 말라는 법은 없으나, 미국 리더쉽의 교체 가능성 등 글로벌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함.
12) 작금과 같은 수요 턴어라운드 시점에는 투자 의사결정의 소폭 지연 만으로도 수급의 불일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음.
'리포트 >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종 내 실적 개선주로 부각될 전망 : 원익IPS(240810) - 목표주가 43,000(-) (0) | 2024.07.30 |
---|---|
실적 턴어라운드 초입 : 원익IPS(240810) - 목표주가 49,000(-) (0) | 2024.07.27 |
우려일 뿐 변한 것은 없습니다 : SK하이닉스(000660) - 목표주가 250,000(-) (0) | 2024.07.27 |
SK하이닉스(000660) 2Q24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주요 질문 (0) | 2024.07.27 |
업종 내 차별적인 실적 성장세가 부각될 것 : SK하이닉스(000660) - 목표주가 270,000(-) (0) | 2024.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