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부품 - 반가운 미국 시장의 성장세 전환 (하나증권 : 김록호)
글로벌 스마트폰 6월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6% 증가, 전월대비 3% 증가한 9,725만대 기록
1) 중국의 618 프로모션, 미국의 여름 프로모션으로 전년동월대비 증가세 시현
2) 지역별로는 인도를 제외한 중국, 미국, 유럽이 모두 전년동월대비 증가
3) 유럽의 높은 성장세 유지되는 가운데 미국의 회복세 감지는 고무적. 인도는 지속되는 폭염의 영향으로 감소세 유지중
중국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4% 증가, 전월대비 17% 증가한 2,524만대 기록
1) 618 프로모션이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전년동기대비 증가
2) 특히 화웨이의 판매량이 전년동기대비 42% 증가하면서 전체 판매량에 기여했는데, 이는 Pura 시리즈 판매 호조 때문
3) 애플의 판매량은 iPhone 15에 대한 20% 할인을 통해 2개월 연속 소폭 증가세 시현
4) 이에 Vivo가 점유율 19%로 점유율 1위했으나, Apple이 점유율 16.5%를 기록하며 2위 탈환. 화웨이는 점유율 16%로 3위
미국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5% 증가, 전월대비 9% 증가한 848만대 기록
1) Apple의 판매량은 iPhone 16에 대한 대기 수요로 인해 전년동기대비 3% 감소
2) 삼성전자의 갤럭시 A15의 판매량 호조로 전년동기대비 26% 증가
3) 전체 미국 판매량은 삼성전자의 A 시리즈를 비롯해 구글의 픽셀 8a 등 중저가 라인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증가세 시현
4) 증가폭이 크지는 않으나 22년 11월 감소세로 전환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를 시현했다는 점이 고무적
인도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7% 감소, 전월대비 5% 증가한 1,164만대 기록
1) 인도에서 50도가 넘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다양한 프로모션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감소
2) 점유율 1위는 Vivo(19%)가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저가형 T3x의 판매 호조가 점유율 유지에 기여
3) 2위는 Xiaomi(19%)로 Redmi 13C 및 Redmi A3 등 저가형 모델 판매를 통해 2위를 탈환
4) 3위는 삼성전자(17%)로 A55의 강세 지속 중이며 $300~$599 모델에서 34%의 높은 점유율 유지중
유럽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0% 증가, 전월대비 5% 감소한 1,252만대 기록
1) 유럽은 20%의 높은 성장세 시현하면서 10개월 연속 성장중
2) 회복 강도는 지난해 9월부터 지속적으로 강해지고 있으며 완연한 회복세를 넘어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고무적
3) 삼성전자는 S와 A 시리즈에 대한 강력한 수요와 S24의 Gen AI에 대한 긍정적 반응에 힘입어 5개월 연속 점유율 1위를 유지중
4) Apple은 전년동월대비 17% 증가했는데, 이는 환적을 통해 러시아로 들어온 비공식 출하 때문
Apple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 증가, 전월대비 6% 감소해 1,555만대 기록
1) 중국 618 프로모션과 유럽의 회복세를 통해 전년동월대비 소폭 증가
2) 미국 내 iPhone 16에 대한 대기 수요로 인해 판매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판매량 증가는 긍정적
3) 15 시리즈의 10개월간 판매량은 1억 2,928만대로 14 시리즈의 동기간 판매량을 0.6% 상회하면서 처음으로 넘어섰음
4) Pro Max와 Pro의 합산 비중은 60%이고, Pro Max 비중은 33%로 Pro보다 높게
유지 삼성전자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 증가, 전월대비 6% 감소해 1,763만대 기록
1) 갤럭시 S24 시리즈 6개월 누적 판매량은 2,080만대(울트라 1,013만대, 플러스 417만대, 기본 650만대)로 S23 시리즈의 1,863만대(울트라 889만대, 플러스 331만대, 기본 643만대)를 12% 상회
2) Z5 시리즈의 11개월 판매량은 730만대(플립 467만대, 폴드 263만대)를 기록해 Z4 시리즈의 895만대(플립 551만대, 폴드 333만대)를 하회
3) S와 A 시리즈 판매 둔화 시작됐으나, 미국과 유럽 내 판매량은 각각 전년동월대비 각각 26%, 8% 증가하면서 증가세 유지중
미국은 회복 감지. 유럽의 고성장세 지속. 중국은 618 프로모션 이후 재고 완화가 중요
1) 유럽 시장의 성장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회복세 전환은 고무적
2) 글로벌 판매량은 1억대를 하회하고 있으나 올해 1월을 제외하고 지난해 10월부터 전년동월대비 5%가 넘는 성장세 유지중
3) 7월 체크 포인트는 유럽과 미국의 성장세 지속 여부와 618 프로모션 이후 중국 내 재고 완화
'리포트 >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향 전환 : 원익IPS(240810) - 목표주가 44,000(-) (0) | 2024.08.01 |
---|---|
완만해진 회복의 기울기 : 하나머티리얼즈(166090) - 목표주가 69,000(-) (0) | 2024.07.30 |
생산능력 = 실적 공식 유효 : 두산테스나(131970) - 목표주가 55,000(▼) (0) | 2024.07.30 |
업종 내 실적 개선주로 부각될 전망 : 원익IPS(240810) - 목표주가 43,000(-) (0) | 2024.07.30 |
실적 턴어라운드 초입 : 원익IPS(240810) - 목표주가 49,000(-) (0) | 2024.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