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이차전지

(10/20) 이차전지 산업 리포트 : 피할 수 없는 소재 국산화(1).

by 느낌이(Feeling) 2021. 10. 20.
반응형

 

전기전자 - 2차전지/피할 수 없는 소재 국산화. (IBK투자증권)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전기차 침투율이 8%에 달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에 따른 배터리 수요 및 판매량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그리고 한국의 배터리 기업들은 기술경쟁력과 공격적인 투자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3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설치캐파기준 20년 26%에서 23년 32%, 25년 3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높은 글로벌 시장점유율(20년 26%)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소재 점유율은 4대 핵심소재 평균 14%(20년)에 불과하다. 소재별로는 양극재 26%, 음극재 8%, 분리막 12%, 전해액 9%다.

한국의 배터리 산업은 시장점유율과 생산능력, 기술경쟁력, 품질경쟁력 측면에서 세계 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유일하게 부족한 점이 원자재와 소재단의 역내 밸류체인 미확보이다. 한국 배터리 산업을 완성시켜줄 마지막 화룡점정은 소재 국산화이다.

그리고 향후 벤더 다변화(높은 대중국 의존도 완화), 고성능/고품질 한국산 소재 수요 증가, 미중분쟁에 따른 소재단의 정치적 리스크 해소라는 3가지 이유에서 배터리 소재 국산화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배터리 시장의 우상향 성장성은 견고하며, K배터리와 K소재간의 협력은 지속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업황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최근 배터리 소재주 중심의 가파른 주가 상승세를 고려하면 현시점에서는 가격과 밸류에이션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주가는 이익의 함수다. 즉, 기업의 적정가치는 이익 * 멀티플이다. 투자하기에 매력적인 기업이란 이익의 증가와 멀티플의 상향이 모두 가능한 기업이다. 

 

-. 소재 국산화가 필요한 이유.

 

1)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7월기준 전기차(BEV+PHEV) 침투율이 8%(20년 4%)에 달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음.

 

2) 유럽의 침투율은 16.1%에 이르고, 중국은 14.8%, 미국은 4.5%로 산업은 구조적인 성장 국면에 위치해있음.

 

3) 이에 따라 배터리 수요 및 판매량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임.

 

4) 한국의 배터리 셀 업체들은 기술경쟁력과 공격적인 투자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5) 국내3사(LGES, SDI, SKI)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설치캐파기준 20년 26%(180GWh)에 서 23년 32%(465GWh), 25년 36%(785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6) 규모에서 가장 앞서 있는 LGES는 21년 155GWh에서 23년 310GWh, 25년 445GWh로 3배 가까이 증가함.

 

7) SDI는 21년 42GWh에서 23년 70GWh, 25년 140GWh로 LG 못지 않은 성장이 예상됨.

 

8) 3사중 가장 후발주자였던 SKI는 21년 40GWh에서 23년 85GWh, 25년 200GWh로 5배 가까이 성장하며 가장 가파른 성장률이 전망됨.

 

 

9) 한국 배터리셀 업체들의 높은 글로벌 시장점유율(20년 26%, 23년 32%, 25년 36%)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소재 점유율은 20년 기준 4대 핵심소재 평균 14%에 불과함.

 

10) 소재별로는 양극재 26%, 음극재 8%, 분리막 12%, 전해액 9%임.

 

11) 그나마 배터리 원가 중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양극재 산업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

 

12) 글로벌 2차전지 소재 시장은 물량 면에서 중국이 선도하고 있음.

 

13) 4대 소재 모두 중국산 소재 점유율이 50%를 상회하며, 양극재 50%, 음극재 72%, 분리막 53%, 전해액 74%임.

 

14) 중국업체들은 거대한 중국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정부의 지원정책에 힘입어 원자재부터 소재, 셀, 전기차에 이르기까지 중국 내 공고한 밸류체인을 형성하여 시장을 선점함.

 

15) 일본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이엔드 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탄탄한 화학베이스를 토대로 분리막 시장의 점유율이 35%로 높음.

 

16) 일본의 소재 점유율은 양극재 14%, 음극재 20%, 전해액 17%로 중국 다음으로 소재 시장 점유율이 높음.

 

 

 

 

-. K배터리-K소재 협력 강화 전망.

 

1) 한국의 배터리 산업은 크게 5가지 측면에서 장단점을 보유하고 있음.

 

2) CATL을 중심으로 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절대적인 시장점유율이 한국보다 높은 편이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중국은 값싼 LFP 중심에 머물러 있음.

 

3) 하이엔드 전기차 시장인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는 한국의 점유율이 압도적임.

 

4) 국내3사(LGES, SDI, SKI) 합산 글로벌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20년 26%, 23년 32%, 25년 36%로 전망됨.

 

5) 오랜기간의 배터리 생산경험을 통해 양질의 생산기술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규모면에서도 압도적임.

 

6) 국내3사의 배터리 생산캐파는 20년 180GWh에서 23년 465GWh, 25년 785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7) 한국은 높은 기술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글로벌 선두적인 R&D 인력 및 기술력과 그를 뒷받침할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8) 특히, 차세대 하이엔드 배터리인 하이니켈계 배터리 기술에 장점이 있음.

 

9) 또한 오랜기간의 생산경험 및 시행착오 끝에 얻어진 품질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한 자동차 OEM과의 리스크 관리 능력이 장점임.

 

10) 최근 일부 배터리 화재 이슈가 있었으나 시장 성장의 도입기에 발생할 수 있는 단기적인 이슈로 여전히 한국업체들의 품질경쟁력은 글로벌 선두수준임.

 

11) 마지막으로 유일하게 부족한 점이 원자재(리튬, 니켈, 코발트 등)와 소재단의 역내 밸류체인 미확보임.

 

12) 한국 배터리 산업의 완전한 오각형을 완성시켜줄 마지막 화룡점정은 소재 국산화이며, K배터리와 K소재 간의 사업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함.

 

 

 

 

 

-. 소재 국산화 필요 이유.

 

1) 한국 배터리 셀 업체 입장에서 소재 국산화가 필요한 이유는 크게 벤더 다변화(높은 대중국 의존도 완화), 고성능/고품질 한국산 소재 수요 증가, 미중분쟁에 따른 소재단의 정치적 리스크 해소(탈중국화)임.

 

2) 2차전지 4대 핵심소재 시장의 글로벌 5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하는 만큼 그 지배력이 공고한 상황임.

 

3) 한국 배터리업체들 또한 상당부분 중국산 소재를 채용하고 있으며, 가격경쟁력과 물량을 앞세운 중국산 소재의 절대비중을 모두 대체하기는 쉽지 않음.

 

4) 특정 국가, 특정 벤더들에게만 치중되어 있을 때의 공급 불확실성은 밸류체인상 크나큰 약점이 됨.

 

5) 최소한 가격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선에서 벤더 다변화 측면에서 국산 소재 비중을 높일 유인은 충분함.

 

6)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더 긴 주행거리, 더 빠른 충전속도, 더 안전한 품질의 배터 리 제품이 중요해지고 있음.

 

7) 또한 최근 전기차 배터리 결함으로 인한 리콜 이슈가 대두되며 판가를 다소 높게 쳐주더라도 안전하고 성능 좋은 배터리 생산을 위해 고성능/고품질 한국산 소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8) 배터리의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서 에너지밀도 향상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니켈함량이 높은 하이니켈 양극재가 필요함.

 

9) 배터리 수명 연장이나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는 특수 전해질(LiFSI, LiPO2F2, LiDFOP)이나 습식 분리막(안전성 향상)이 필요함.

 

10) 대표적인 한국 기업으로는 에코프로비엠(하이니켈 양극재), 엘앤에프(하이니켈 양극재), 천보(특수 전해질), SKIET(습식 분리막) 등이 있음.

 

 

11) 최근 배터리 시장의 메가 트렌드는 현지생산 현지조달의 현지 생태계 구축임.

 

12) 배터리 업체들에게 있어 현지 공장 보유 유무는 중장기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잡으며 앞다투어 해외 현지공장 설치를 늘리고 있음.

 

13) 이와 함께 배터리 소재업체들도 해외 현지투자를 적극 추진하고 있음.

 

14) 소재업체들은 현지투자를 통해 물류비용 절감, 안정적인 역내 조달, 고객사 확보, 현지 고객사 요구에 대한 빠른 대응 등의 큰 이점을 누릴 수 있음.

 

15) 글로벌 소재업체들이 중국, 유럽, 미국 3개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현지 투자를 적극 늘려가는 중임.

 

16) 다만, 미국시장은 미중분쟁으로 인해 중국 배터리업체들의 현지 진출이 용이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중국 소재업체들 또한 현지진출이 쉽지 않은 지역임.

 

17) 미국 현지의 배터리셀 업체들에게 있어 현지에 공장을 짓지 못하는 중국 소재 기업들은 현지에 공장을 보유한 타 소재 기업 대비 매력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음.

 

18)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 정책의 핵심은 대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한국과 대만 등 동맹국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하며 자국중심주의를 유지하는 것임.

 

19) NAFTA를 대체하는 새로운 북미 국가간의 USMCA 협정을 통해서는 비시장경제 국가와의 거래 제한 항목을 삽입하여 중국을 대놓고 견제하려는 의도를 내비침.

 

20) 해당 정책은 배터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강화된 원산지규정으로 소재 또한 탈중국화가 발생할 가능성의 소지가 다분함.

 

21) 미중분쟁 반사이익의 최대 수혜는 한국 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배터리 시장의 우상향 성장성은 견고하고 K배터리와 K소재간의 협력은 지속 강화될 것으로 예상함.

 

 

 

-. 배터리 소재 시장 전망.

 

1) 글로벌 전기차 판매 확대로 배터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소재 시장 역시 21년 282억달러에서 25년 704억달러, 30년 1,231억달러로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2) 소재 시장의 연간 성장률은 21년 32%에서 23년 27%, 25년 20%까지 고성장을 지속하다가 향후 10% 초중반대의 안정적인 산업 성장률에 안착할 것으로 예상함.

 

3) 4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모두 이와 유사한 흐름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함.

 

4) 배터리 시장에서 소재가 차지하는 시장 비중은 21년 기준 56% 수준이고, 25년 53%, 30년 49%로 50%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전망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