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et’s play with Display : 하반기 스마트폰과 IT 기기 수요 강세 대응 전략. (하나금융투자)
-. 패널 : LG디스플레이 주가 흐름에서 읽을 수 있는 OLED에 대한 기대감.
→ LCD 패널 가격 상승세가 중단되며 2주 전 일제히 큰 폭 하락했던 패널 메이커들의 지난 주 주가는 LG디스플레이 +1%, AUO/Innolux 각각 -4%로 상이한 흐름을 보여줌.
→ 시장은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른 TV/노트북 수요 둔화 및 LCD 패널 가격 하락을 우려하고 있음.
→ 22년 EPS 성장률 컨센서스가 LG디스플레이 -11%, AUO -21% 에서 볼 수 있듯이 LCD 수익성 악화 구간에서 LG디스플레이는 OLED 수익성 개선으로 인해 Pure LCD maker보다 실적 방어가 가능하다고 시장은 기대하고 있음.
→ 단기적으로는 LCD 패널 가격 하락 우려가 LG디스플레이 주가 측면에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작용하겠으나, 하반기로 갈수록 OLED TV 흑자전환 및 OLED 모바일 이익 증가에 따른 기업가치 재평가 논리가 힘을 얻을 것으로 판단함.
→ 디스플레이 장비 회사 와이엠씨는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LCD 제조 설비 해체 용역 수주를 공시했음.
→ 삼성디스플레이의 연간 LCD CAPA는 2019년 대비 약 1/5 수준인 130K까지 감소했으며, 이 규모가 2022년 하반기까지 유지될 것으로 판단함.
-. 소재 및 장비 : 애플은 하반기 스마트폰과 노트북 수요 강세 전망.
→ 애플 아이폰 신제품 증산 가능성이 제기됨(신제품 출시 이후 연말까지 생산 대수는 평년 기준 7,500만대, 2021년 아이폰12s는 9,000만대 생산 준비).
→ 애플은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른 외부 활동 재개 및 5G 침투율 상승에 따른 스마트폰 수요 강세를 대비하는 스탠스이며, 5월 아이패드 신제품 출시 이후 예상보다 강한 수요로 인해 부품 공급 차질 발생하여 아이패드 배송 지연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임.
→ 올 연말 출시 예정인 맥북 신제품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미니LED 칩 표면 실장 공급사를 추가했음(대만 입신정밀, 기존에는 TSMT 독점).
→ 애플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노트북 등 IT 기기 수요 강세가 지속되는 시나리오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있음.
→ 중국 618 행사 기간 동안 YoY -20% 판매량 감소했던 TV와 달리 최근 노트북, 태블릿 수요는 지속 강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애초에 COVID-19 피해 섹터였던 스마트폰은 2021년 외부활동 재개 및 5G 침투율 상승에 따른 수혜가 예상됨.
→ 애플의 최근 아이폰 증산 및 IT 기기 부품 조달처 다각화는 이러한 흐름에 대비하는 전략이라고 판단함.
→ Omdia는 2021년 노트북 출하량 전망치를 2.6억대(YoY +17%)로 상향했고, OLED 노트북 판매량은 2019년 15만대, 2021년 148만 대, 2022년 257만대를 전망함.
→ Trendforce 역시 2021년 노트북 출하 YoY +12% 증가 전망을 제시한 바 있으며, 최근 삼성디스플레 이 역시 2021년 노트북 OLED 패널 출하량 목표치를 기존 400만대 이상에서 550만대~600만대로 약 42% 상향한 바 있음.
→ 한국 서플라이 체인에 대한 투자 접근 역시 스마트폰과 IT 기기 Exposure가 높으면서 해당 시장 내 OLED 침투율 상승이라는 구조적 흐름에 모두 수혜인 기업들을 우선 선택할 수 밖에 없음.
→ 동사의 Top picks는 덕산네오룩스, PI첨단소재임.
→ 유비리서치는 삼성디스플레이의 모바일 OLED 패널 시장 점유율이 2022년에는 60%대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삼성디스플레이 출하량은 유지 가능하나 중국 패널 메이커들의 출하량 증가에 따른 삼성디스플레이 점유율 하락은 불가피함.
→ 삼성디스플레이와 BOE를 모두 고객사로 두고 있는 국내 부품/소재주들은 수혜임(관련종목 : 덕산네오룩스, PI첨단소재, 이녹스첨단소재).
→ 한편, 구글, 샤오미, 비보가 출시 예정인 폴더블 스마트폰 내부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담당하며, 화웨이에서 분사한 HONOR는 BOE의 폴더블 패널을 탑재할 전망임.
→ 옴디아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을 2020년 500만대, 2021년 1,300만대로 전망했으며, 폴더블 시장 확대 과정에서 폴더블 패널 보호 필름 공급 중인 이녹스첨단소재 수혜가 예상됨.

'리포트 > 디스플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7) 디스플레이 산업 리포트 (0) | 2021.07.27 |
---|---|
(7/23) 디스플레이 산업 리포트 (0) | 2021.07.23 |
(7/13) 디스플레이 산업 리포트 (0) | 2021.07.13 |
(7/6) 디스플레이 산업 리포트 (0) | 2021.07.06 |
(6/29) 디스플레이 산업 리포트 (0) | 2021.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