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반도체

2Q22 NDR 후기, 기회요인이 더 많을 것 : 넥스틴(348210) - 목표주가 82,000(-)

by 느낌이(Feeling) 2022. 8. 22.
반응형

 

 

 

 

▼ 넥스틴은 어떤 기업인가?

 

국내 반도체 검사 장비의 Next Level : 넥스틴(348210) - 웨이퍼 패턴 검사 장비

※ 기업 소개 영상 먼저 보고 가자. 1. 웨이퍼 검사장비 대장주 넥스틴! -. 넥스틴은 웨이퍼 미소 패턴 결함 검사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전문기술기업임. 1) 동사의 본사는 위치한 경기도 화성

feeling-stock.tistory.com

 

 

 

넥스틴 - 2Q22 NDR 후기, 기회요인이 더 많을 것 (현대차증권)

 

 

 

2 분기보다 3 분기는 더 좋을 것

 

2Q22 동사의 실적은 매출액 356억원 (+118.7% qoq, +94.9% yoy), 영업이익 186억원 (+194.0%qoq, +156.5% yoy), 영업이익률 52.7%를 기록함.

 

이는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이며, 실적 상회의 이유는 중국향 매출 비중 증가와 환율 효과에 기인함.

 

 

3Q22 동사의 실적은 기수주된 중국향 매출 비중이 2Q22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매출액 382억원 (+7.3% qoq, +153.0% yoy), 영업이익 209억원 (+11.5% qoq, +194.7% yoy) 영업이익률 54.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동사의 8월 기준 신규 수주는 981억원이며, 2분기말 기준 수주잔고는 718억원으로 대부분이 중국향 물량임을 고려하면 2022년 사상최대의 실적 보일 것으로 전망함.

 

 

 

 

NDR 주요 질의 내용을 통해 본 Key Takeaway

 

최근 미국의 중국 반도체산업을 견제하기 위한 반도체장비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미세공정용에 사용되는 반도체 장비 제제가 이루어지고 있음.

 

현재 중국은 더욱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임.

 

1H22 기준 중국 주요 반도체 기업 5개사가 구매한 반도체 장비는 548대로 전년 대비 36% 증가함.

 

중국 정부가 반도체 생산장비 구매에 대해 중국내 반도체 업체들에게 금융지원을 최대한 하고 있음.

 

중국이 최첨단 공정 기술이 아닌 레거시 생산 역량 확장에 집중함으로써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이 미세 공정에 집중하여 레거시 반도체 생산에 많이 투자를 하지 않음.

 

IBS(Intern’l Business Strategy)에 따르면, 글로벌 레거시 공정 반도체 수요가 2030년까지 약 37조원으로 2022년대비 3배 이상 증가함.

 

전세계적으로 전세계 28nm 반도체 생산 중, 21년 중국의 M/S는 15%였으나 25년까지 40%까지 확대될 것임.

 

따라서 동사의 중국향 매출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음.

 

2Q22 기준 넥스틴 이지스 I과 이지스 II의 평균 매출총이익률은 70.5%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2024년 브라이트장비와 자이시스의 기술을 이용한 미세 정전기 제거 장비 출시시 높은 이익률 확보와 더불어 장기 성장 동력이 확보됨.

 

또한 TSOM 기술을 이용한 3D 낸드 내부의 결함여부와 결함 위치 파악가능한 검사장비인 IRIS 장비 납품시 성장 모멘텀 강화될 것임.

 

 

 

 

주가전망 및 Valuation

 

후공정 대비 전공정 장비는 국산화율이 7%에 불과하고 기술장벽도 매우 높음.

 

동사는 미-중 반도체 제재에 따른 중국 반도체 업체향 다크필드 장비 시장 점유율 확대 지속으로 수주와 실적 동반 상승 가시성이 높다고 판단됨.

 

▼ 관련기사

 

'반도체戰'으로 번진 미중전쟁.. 한국의 대중국 전략은

[파이낸셜뉴스] 오는 24일 한국과 중국은 수교 30주년을 맞는다. 수교 30년 동안 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속에 다양한 방면에서 교류를 지속하며 성장해 왔다. 하지만 최근들어 미국과 중

www.fnnews.com

한국과 중국의 수교 30년 동안 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속에 다양한 방면에서 교류를 지속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의 이슈는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는데요.

특히 사드 문제는 다시금 한국과 중국의 관계에 발목을 잡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이 주장하는 3불 1한에 한국은 안보 주권 사안으로 협상이 불가한 영역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양 국민 간 감정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죠.

최근 20년 동안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습니다.

2000년 반도체산업의 대중 수출 비중은 3.2%였지만, 지난해에는 39.7%로 36.5%포인트 증가해 약 13배가량 늘었습니다.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중 의존도 증가는 역으로 말하면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인데요.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대중 의존도를 중국이 무기화하지 못하도록 수출다변화 등 전략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