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시황 10 반도체 산업 리포트 : 깊은 상처는 회복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 반도체 산업 - 깊은 상처는 회복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 (현대차증권 : 노근창) 2분기에도 DRAM 가격 하락폭 두 자리 수 육박 예상 / Server 32GB DDR4 가격 저점 USD 59 내외 1) 최근 들어 Meta를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북미의 다른 CSP(Cloud Service Provider)들도 기존 대비 Server 주문량을 하향 조정하고 있음. 2) 이에 따라 올해 전세계 Server 출하량은 기존 YoY 3.7%증가에서 YoY 1.3% 증가로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CSP 수요(대만 ODM업체 생산량)도 기존 YoY 10.7%에서 6.5%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임. 3) 북미 CSP들의 Server 수요는 2022년 YoY로 15.1% 증가에서 2023년 YoY 4.4%증.. 리포트/반도체 2023. 2. 25. (9/14) 반도체 산업 리포트 : 대만 IT 8월 실적 코멘트. 전기전자 - 대만 IT 8월 실적 코멘트 (한화투자증권) -. 전월에 이어 IT 수요 둔화 현상이 나타나. 1) 2021년 8월 주요 대만 테크 업체들의 합산 매출액은 1조 3,848억 대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3.9%, 전월대비 +0.8%)를 기록했음. 2) 전반적으로 성장동력이 떨어진 모습이며, 반도체 업체들은 여전히 고공 성장을 지속하고 있지만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ODM/OEM 업체들이 역성장하고 있어 버거운 모습임. 3) PC 수요는 코로나19 로 인한 수혜 효과가 반감되면서 재고조정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핸드셋 수요는 여전히 바닥임. 4) 성장률이 가장 높은 섹터는 디램(+76.9%), 팹리스(+38.2%), FPCB(+37.7%)이며,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섹터는 케이.. 리포트/반도체 2021. 9. 14. (7/30)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전기전자 - 휴대폰/부품 (하나금융투자) -. 6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 중국 재고는 다시 감소, 삼성전자는 베트남 공장 차질. →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동월대비 5% 증가하였으며, 3~5월은 코로나19에 의한 기저가 확인된 기간이었고 6월부터는 기저 효과가 둔화되기 시작해 전월대비로는 7% 증가함. → 반도체 공급 부족 및 인도의 봉쇄조치 완화와 중국의 618 쇼핑데이가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에 기여함. →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 감소하였으나, 전월대비로 16% 증가했는데 반도체 공급 부족 완화와 618 쇼핑데이가 주요인으로 판단됨. → CAICT가 발표한 6월 출하량은 전월대비 11% 증가하여 출하량대비 판매량이 높았으며, 출하량과 판매량의 차이는 3월 894만대에.. 리포트/반도체 2021. 7. 30. (7/5)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 - 반도체 등 공급부족 이슈 재점검 (유안타증권) -. [반도체] → 6월 PC 디램 고정가격은 전월 대비 Flat 하며, 서버 디램 고정 가격 상승률은 2.7~3.5% 상승함. → NAND 고정 가격은 Flat을 기록하였으며, 6월 반도체 수출액은 111.6억불(YoY 34%, MoM 11%)에 달하며 12개월 연속 YoY 성장함. → 전체 수출 금액중 반도체 비중은 20%로 전년 동기 대비 21% 줄어들었으며, 가상화폐 가격하락 및 스마트폰 생산차질 등 전방산업 우려 요인은 상존하지만 3Q21 메모리반도체 가격 상승 모멘텀은 당초 예상을 대폭 상회할 전망임. → 3Q21 PC 및 Server 디램 고정가격 상승 폭은 전분기 수준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모바일디램과 컨슈머디램 가격이 적게는 1.. 리포트/반도체 2021. 7. 5. (7/2)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 - 반도체 등 공급부족 이슈 재점검 (키움증권) -. 2분기 공급부족 정점, 하반기 완화 예상. → 비메모리 반도체 및 주요 부품의 공급부족 배경은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기기와 5G 스마트폰 수요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PMIC를 중심으로 제품 생산의 안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8인치 Fab 투자 부족 같은 구조적 요인이 뒷받침된 결과임. → 2분기에 말레이시아 봉쇄와 대만의 물 부족 및 코로나 확산 등이 반도체 공급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 측면이 있으며, 생산차질 이슈는 2분기 정점을 지나면서 부품 재고가 증가함에 따라 하반기에는 완화되겠지만 여파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임. → 스마트폰은 여전히 PMIC와 DDIC가 공급부족이며, 두 제품의 판가 는 상반기에 20% 이상 상승했음. →.. 리포트/반도체 2021. 7. 2. (6/29)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 - 안개가 걷히고 나면 (한화투자증권) -. 하반기에도 디램 가격은 견조할 전망. → 디램 업황은 모바일 수요가 부진하더라도 서버 수요가 견인할 것이며, 평균판매가격(ASP)은 3분기 +15%, 4분기 +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모바일 수요가 우려되지만, 2분기 중 생산캐파 할당을 서버로 전환하여 하반기 공급과잉으로 인한 디램 가격 하락을 제한함. → 3분기 디램 가격이 15% 이상 급등하는 것이 이를 반증하며, 공정 난이도 증가에 따른 단위 투자금액이 높아지고 있어 현재 반도체 투자는 역대급 규모임. → 미국 Big3 인터넷 기업들의 클라우드 매출 성장률은 코로나19 이후 회복세에 있으며, 이런 환경에서 2분기부터 서버 디램 수요가 회복하고 있다는 것은 투자 사이클이 한번 더 나타날.. 리포트/반도체 2021. 6. 30. (6/25)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 - 한숨만 쉬다가 잠시라도 시름을 덜겠다 (하나금융투자) -. 잠시나마 안정을 찾은 메모리 반도체. → 금주 메모리 반도체 공급사 중에서 DRAM 공급사의 주가가 견조했으며, Micron(미국), Nanya Technology(대만), 삼전은 3 영업일 연속 상승했고 하닉은 2 영업일 연속 상승함. → 주가가 동행하며 상승한 이유는 첫째 차량용 반도체의 극단적인 수급 불균형이 완화된다는 신호가 긍정적이며, 21년 3분기 DRAM 업황에 대한 안도감의 확산이라고 추정됨. → 완성차 내에서 DRAM을 비롯한 메모리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10% 미만이므로, 이렇게 낮은 비중을 고려하면 차량용 반도체의 공급 부족 완화와 DRAM 공급사 주가 반등의 연결고리가 약해 보이나, 그동안 반도체 업종 주.. 리포트/반도체 2021. 6. 25. (6/19)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 - 불안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 (이베스트증권) -. 수요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 중국 정보통신연구원에 따르면 5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22.6백만대로 전월대비 16%,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함. → 5G 스마트폰의 출하량은 16.7백만대로 전월대비 22% 감소하여 침투율이 73%로 낮아짐. → 5월 스마트폰 출하량은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이며, 5G 스마트폰 출하량이 LTE 이하 모델의 스마트폰 출하량보다 더 많이 감소했다는 것은 부품 부족에 따른 영향도 있으나 High-End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 감소가 주된 원인일 것. → 스마트폰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35%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이며, 중국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단일 시장으로 가장 큰 규모인 24%를 .. 리포트/반도체 2021. 6. 19. (6/15)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 - 반도체(Overweight) 위클리 (하나금융투자) -. 마이크론 실적 발표 전까지 횡보 국면 예상. →이번 주 한국과 미국의 반도체 업종이 부진하였으며, 바이든 정부의 행정명령 후속 조치와 G7의 중국 견제 시도는 무역 분쟁이 지속된다는 신호를 보내며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 미국내 인플레이션 지표(5월 소비자 물가지수 5% Y/Y)에 대한 우려도 주중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함. → 그러나 미국 10 년 만기 국채 금리는 안정적이었으며, 현재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 따라서 걱정하던것과 달리 반도체 업종의 주간 수익률은 크게 급락하지 않았음. → 삼성전자는 2분기 및 하반기 실적 상향 조정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주가 흐름(주간 수익률 .. 리포트/반도체 2021. 6. 15. (5/24) 반도체 산업 리포트 1. 반도체(Overweight) : 한미 정상회담은 중소형주에 긍정적 (하나금융투자) -. 외교부 브리핑에 따르면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SK그룹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산업을 추진함. -. 삼성전자는 170억 불의 신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언급함. → 삼전은 오스틴에 5나노미터 공정의 EUV 파운드리 라인을 구축, 21년 3분기 착공에 들어가 24년 완공할 예정임. → 국산화율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반도체 중소형주(소재, 부품, 장비)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음. → 선단 공정(첨단 공정)에 소재, 부품, 장비를 공급했던 이력을 가진 기업이 유리함. -. 반도체 Fab을 짓는데 1년 이상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반도체 중소형주가 삼전의 미국 증설 투자에 따른 .. 리포트/반도체 2021. 5. 25. 728x90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