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반도체 수익성 개선 본격화 : 삼성전자(005930) - 목표주가 110,000(-)
삼성전자 - 메모리반도체 수익성 개선 본격화 (유안타증권 : 백길현) 2Q24 Review: 메모리반도체 수익성 개선 본격화 1) 전사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4조원(YoY +23%, QoQ +3%), 10.4조원(OPM 14%, YoY +1462%, QoQ +58%)을 기록함. 2) 메모리반도체 영업이익은 6.6조원(OPM 30%, YoY 흑전, QoQ +132%)으로 전분기 영업이익률 16% 대비 큰 폭의 수익성 회복세를 보이며 전사 실적 개선을 견인함. 3) DRAM/NAND 영업이익은 각각 4.4조원(OPM 33%, YoY 흑전, QoQ +126%), 2.2조원(OPM 26%, YoY 흑전, QoQ +144%)임. 4) 메모리반도체 재고평가손실 환입 규모가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리포트/반도체
2024. 8. 9.
두려움은 기회가 된다 : 삼성전자(005930) - 목표주가 109,000(-)
삼성전자 - 2Q24 Review 컨센상회, 가파른 가격 상승효과 (교보증권 : 최보영) 2Q24 상세실적 Review 1) 삼성전자 2Q24 확정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74.1조원(+23% YoY, +3% QoQ), 영업이익 10.4조원(+1,461% YoY, +58% QoQ, OPM 14.1%)으로 발표했음. 2)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DS 6.4조원, DX 2.7조원, SDC 1조원, Harman 0.3조 원임. 3) DRAM은 B/G 5%와 ASP 19% 상승, NAND는 B/G -2%와 ASP 23% 상승으로 추정함. 4) HBM 매출은 50% 중반 QoQ 상승하였고 서버 DRAM 역시 수요 증가에 힘입어 80% 중반 QoQ 상승하였음. 5) 서버향 eSSD 역시 40% 중반 QoQ 매출..
리포트/반도체
2024. 8. 9.
2Q24 Review 컨센상회, 가파른 가격 상승효과 : 삼성전자(005930) - 목표주가 120,000(-)
삼성전자 - 2Q24 Review 컨센상회, 가파른 가격 상승효과 (교보증권 : 최보영) 2Q24 Review 컨센상회, 가파른 가격 상승효과 1) 지난 7/5 잠정실적으로 발표된 바와 같이 삼성전자의 2Q24 매출액 74.07조원 (YoY %, QoQ %), 영업이익 10.44조원(YoY %, QoQ %, OPM14.1%)으로 시장 컨센서스 매출액 73.8조원, 영업이익 8.3조원에 크게 상회함. 2) DRAM B/G +6%, ASP +19%, NAND B/G -5%, ASP +23%으로 추정됨. 3) DRAM과 NAND의 B/G는 1Q24 높았던 기저효과로 인해 제한적인 상승을 보였으나, 높은 ASP효과를 보여주었음. 4) DRAM은 Generative AI향 DDR5 및 스토리지 수요확대 AS..
리포트/반도체
2024. 8. 5.
점진적 실적 개선 중, 모든 호재는 연말에 집중 : 대덕전자(353200) - 목표주가 30,000(▼)
▼ 대덕전자 투자자 필독 REPORT [필독] DDR5, 대체 언제 수혜를 보는가? : 대덕전자(353200)대덕전자 - DDR5, 대체 언제 수혜를 보는가? (느낌이블로그) 안녕하세요 느낌이입니다. 오늘은 반도체 기판주인 대덕전자에 대해 매수근거와 기업분석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다음 반도체feeling-stock.tistory.com 대덕전자 - 점진적 실적 개선 중, 모든 호재는 연말에 집중 (BNK투자증권 : 이민희) 기대치 상회한 2Q24 실적: 서버향 패키지 기판 수요 증가 덕분 1) 대덕전자의 2Q24 매출액은 2,382억원(11%QoQ, 8%YoY), 영업이익은 109억원(흑전 QoQ, 94%YoY)을 기록, 컨센서스 대비 각각 2%, 38%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음. 2..
리포트/반도체
2024. 8. 2.
반도체 산업 리포트 : 4월 스마트폰 판매, 올림픽 앞두고 분위기 좋은 유럽
스마트폰 - 4월 스마트폰 판매, 올림픽 앞두고 분위기 좋은 유럽 (KB증권 : 이창민)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6% YoY, 유럽 역할이 컸다 1) 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4월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93.4백만대를 기록해 전월 (96.6백만대) 대비로는 -3.3% 감소했으나, 전년동월 (88.0백만대) 대비로는 +6.1% 증가했음. 2) 아이폰 판매량이 본격적으로 하락하고, 갤럭시S 등 안드로이드 진영의 1분기 신제품 출시 효과도 약해지는 4~6월은 전통적인 스마트폰 비수기인데, 이를 감안하면 충분히 인상적인 수치로 판단됨. 3) 특히 판매 흐름이 지지부진했던 중국 (18.7백만대, -8.8% MoM, +2.1% YoY) / 미국 (8.6백만대, -9.8% MoM,..
리포트/반도체
2024.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