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098

[공지] 느낌이 블로그 네프콘 이전 건 입니다. 안녕하세요 느낌이입니다. 느낌이 블로그 구독자 여러분. 제 블로그를 항상 애정 어린 관심으로 지켜봐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중요한 공지사항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느낌이 블로그가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로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네프콘 내 주주클럽이라는 채널측에서 좋은 제안을 주셔서, 앞으로의 기업 분석 및 주담 통화 관련 글들은 네프콘 채널 내 '주주클럽'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느낌이 블로그가 네프콘으로 이전하게 된 이유는 더 다양한 시황 콘텐츠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기업들 투자 관련 내용들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앞으로도 변함없는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기존의 티스토리 블로그는 취업 블로그 용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취업 관련 정보와 팁은 여전히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만나.. 카테고리 없음 2024. 11. 30.
반도체 산업 리포트 : ON 디바이스 AI로 테크 붐 ON ① 반도체 - ON 디바이스 AI로 테크 붐 ON (DS투자증권 : 이수림)    AI 모멘텀을 지속시킬 애플의 귀환   애플은 B2C AI의 시장을 열어 AI 수익화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잠재울 것  1) 최근 시장은 비즈니스 모델 부재로 인한 AI 수익성 확보 어려움에 대한 우려를 지속 제기했으나, 아직 생성형 AI가 발전 단계에 있다고 판단하며 버블 우려는 시기상조임. 2) CSP 업체들이 승자독식 구조의 B2B AI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해왔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비용을 지불할 만한 서비스가 없었던 것은 사실임. 3) 애플의 AI 시장 진입과 함께 하반기 B2C AI가 제대로 시작되고 2025년 본격화를 전망함. 4) 9/10 애플 아이폰 16 공개, 애플 인텔리전스는 2024년 10월 출시.. 리포트/반도체 2024. 8. 30.
반도체 산업 리포트 : 잠시 눈높이를 조정하는 시간 반도체 산업 - 잠시 눈높이를 조정하는 시간 (NH투자증권 : 류영호)   큰 서프라이즈는 아니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실적과 자사주 매입. 1) 엔비디아의 2분기 매출액은 300억 달러(+15% q-q, +122% y-y)로 시장 예상을 상회함. 2) 다만 최근 높아진 시장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적이며, 3분기 가이던스는 325억 달러로 시장 예상(318억 달러) 상회함. 3) 최근 수분기 제시하던 가이던스 성장폭은 40억 달러 내외로 이전 성장 대비 둔화됨.  4) 신규 제품 출시에 따른 비용 상승으로 매출 총이익률 가이던스는 74.5-75.5% (시장 예상 75.5%) 소폭 하회함. 5) 시장에서 우려했던 블랙웰의 경우 설계 변경은 없었으며, 4분기부터 수십억 달러 매출 인식될 것이라 언급함. 6.. 리포트/반도체 2024. 8. 30.
[2024.08.20] 세경하이테크(148150) 주담통화 세경하이테크 주담통화 (느낌이블로그)   안녕하세요 느낌이입니다.  오늘도 IR 담당자 분과 통화해본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전략을 어떻게 도출해야되는지 같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함께 보시죠.   [2024.08.20] 세경하이테크(148150) 주담통화안녕하세요 느낌이입니다. 오늘 세경하이테크 주가가 기분 좋게 반등을 했죠. 어제까지 세경하이테크가 기관 대상으로 진행했던 NDR에서 기쁜 소식(?)이 있었길 기도해보면서, 오늘도 IR 담당자contents.premium.naver.com 느낌이 효자종목 특별관/세경하이테크 2024. 8. 22.
2025년, 메모리반도체 Capex 재개 & 쿼츠 시장내 입지 확대 : 원익QnC(074600) - 목표주가 50,000(-) 원익QnC - 2025년, 메모리반도체 Capex 재개 & 쿼츠 시장내 입지 확대 (유안타증권 : 백길현)    2Q24 Review & 2H24 Preview 1) 동사 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330억원(YoY +15%, QoQ +8%), 363억원(OPM 16%, YoY +30%, QoQ +12%)을 기록하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함. 2) Non-Momentive 영업이익은 171억원(OPM 16%, YoY +109%, QoQ +66%)으로, 이 중 대만법인(QoQ +68%)과 안성법인(QoQ +54%) 내 쿼츠 부문의 영업이익 개선세가 두드러지며 전사 실적 회복을 견인했기 때문임. 3) 세정사업부문의 경우 전분기대비 매출액은 소폭 하락했지만, 저부가..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실적으로 보여주다 : 원익QnC(074600) - 목표주가 48,000(-) 원익QnC - 실적으로 보여주다 (신한투자증권 : 오강호)    다시 한번 서프라이즈, 지금은 사야하는 구간 1)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확인된 매력적인 현재 주가로 최근 IT업종 전반의 주가 부진 이후 실적을 통한 반등 Key 확인함. 2) 2024년 영업이익 +66%(이하 전 년대비) 고성장을 전망하며, 반도체 소재/부품 특성상 단기 수요가 아닌 긍정적 방향성 확인임. 3) 고객사 다변화 + 자회사 → 하반기 실적 성장 View 유효함.   실적으로 증명된 2분기, 하반기 그리고 2025년도 성장 기대 이유  1) 2분기 영업이익 363억원(+30%)으로 서프라이즈를 보여줬으며, 주요 제품인 쿼츠 매출액 +27%, 자회사 매출액 +10% 기록함. 2) 하반기 및 2025년 성장 Key를 재확인했으며,..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다변화 노력에 대한 결실이 가까워지고 있음 : 대덕전자(353200) - 목표주가 29,000(-) 대덕전자 - 다변화 노력에 대한 결실이 가까워지고 있음 (IM증권 : 고의영)    신규 고객사 확보와 고정비 부담 완화  1)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9,000원을 유지함.  2) 반도체기판 시장의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으나, 동사는 ‘25년부터 고객사·적용처 다변화를 통해 차별화된 외형 성장을 시현할 전망임. 3) ‘21년~’22년 대규모 투자 이후의 감가상각비 부담도, 1H25를 정점으로 완화될 전망임. 4) 1H25 FC-BGA 턴어라운드: 연간 FC-BGA 매출을 ‘24년 2,040억원, ‘25년 2,950억원으로 전망함. 5) 신규 고객사 확보가 기대되기 때문이며, 적용처는 전장용 반도체인 것으로 파악됨. 6) 1Q25부터 본격적인 이익기여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 경우 FC-..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6년 만에 최대 실적 전망 : SK하이닉스(000660) SK하이닉스 - 6년 만에 최대 실적 전망 (KB증권 : 김동원)    4분기 HBM3E 신규 생산능력 +30% 확대 1) 최근 SK하이닉스는 D램 전체 생산능력의 20%를 차지하는 M16 공장에 HBM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장비 발주를 시작해 4분기부터 HBM3E 공급량을 확대할 것으로 전해졌음.  2) 이에 따라 4분기 HBM 생산능력은 2분기 대비 +30% 증가될 것으로 추정됨. 3) 이는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엔비디아 신제품인 블랙웰 플랫폼에서 HBM3E 12단 탑재 확대와 HBM 용량 증가로 엔비디아의 HBM3E 8단과 12단 주문 비중이 80%를 상회해 선제적 수요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임. 4) 또한, 엔비디아 뿐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플랫폼 등 북미 빅테크 업체들의 HBM..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절대적 저평가 국면 : SK하이닉스(000660) - 목표주가 280,000(-) SK하이닉스 - 절대적 저평가 국면 (KB증권 : 김동원)    목표주가 28만원, 향후 2년간 영업이익 62조원 1) KB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주가 280,000원, Buy를 유지함. 2) 최근 1개월간 SK하이닉스 주가는 -27% 하락해 2025년 PER 4.6배, PBR 1.3배를 기록, 절대적 저평가 국면 진입으로 향후 주가의 업사이드 리스크를 고려할 시점임. 3) 이는 2025년에도 HBM 1위 업체 지위가 유지되며 HBM3E, HBM4에서 시장 지배력 확대가 전망되고, 향후 2년간 추정 영업이익이 61.5조원(24년 24.4조원, 25년 37.1조원)으로 매년 역대 최대 실적 경신이 예상되기 때문임.      하반기 영업이익 16조원, 6년 만에 최대치 경신  1)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투자 의견 상향, 단기 매수 기회로 판단 : SK하이닉스(000660) - 목표주가 200,000(-) SK하이닉스 - 투자 의견 상향, 단기 매수 기회로 판단 (키움증권 : 박유악)    3Q24 영업이익 7.2조원으로, 전망치 상향 조정  1) SK하이닉스의 3Q24 실적을 매출액 18.3조원(+11%QoQ)과 영업이익 7.2조 원(+32%QoQ)으로 상향 조정함. 2) 산업 내 HBM capacity 전환에 따른 공급 감소와 범용 서버의 수요 회복 영향으로, DRAM의 가격이 당초 예상치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3) DRAM: 영업이익 6.3조원(+33%QoQ) 전망하며, DRAM 가격 전망치를 기존 +10%QoQ에서 +14%QoQ로 상향 조정함. 4) 제품 가격 상승률은 서버 DRAM +22%QoQ, PC DRAM +13%QoQ, 모바일 DRAM +2%QoQ로 각각 예상함. 5) 출하량은..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고대하던 영업흑자, 하반기 계단식 증익 기대 : 심텍(222800) - 목표주가 33,000(▼) 심텍 - 겨울잠 자고 있는 반도체 기판 대장주 (DB금융투자 : 조현지)    2Q24P Review –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1) 심텍의 2Q24P 매출액은 3,117억원(+22.8%YoY, +6.1%QoQ), 영업이익은 36억원(흑전YoY, 흑전QoQ)을 기록하며 5개분기 연속 영업적자 끝 흑자 전환하였음. 2) 매출액은 컨센서스(3,072억원)에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은 컨센서스(56억원)를 하회하였음. 3)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모듈 PCB 매출액이 749억원(+39.5%YoY, +2.9%QoQ)으로 예상 대비 견조 하였음. 4) 다만 모듈PCB가 한자릿수 중반 OPM을 시현한 반면 Substrate 기판은 BEP 수준에 그치며 예상 대비 이익 개선 폭은 아쉬웠음.  5) Substrate 기판..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방향성은 맞으나 아쉬운 회복 속도 : 해성디에스(195870) - 목표주가 44,000(▼) 해성디에스 - 방향성은 맞으나 아쉬운 회복 속도 (미래에셋증권 : 박준서)    2Q24 Review: 바닥은 통과 1) 2Q24 매출액 1,549억원(-19.5% YoY), 영업이익 180억원(-32.8%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5%, -18% 미스했음. 2) 시장 기대보다 전기차 수요 둔화와 IT 및 컨슈머 시장 전체가 회복이 늦어지고 있고 있음.  3) EV 수요 회복이 더 늦어지고 있고 주력 제품인 DDR4는 HBM 증가로 인한 DDR 웨이퍼 할당량 감소로 패키지 기판도 낮은 매출을 기록했다고 판단함.     3Q24 Preview: 방향성은 확고 1) 3Q24 매출액 1,623억원(+4.4% YoY), 영업이익 249억원(+28.5%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13%, -12%..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연말에 올 변곡점 : 해성디에스(195870) - 목표주가 40,000(▼) 해성디에스 - 연말에 올 변곡점 (삼성증권 : 임은영)    목표주가 40,000원으로 42.9% 하향 1) 전방 수요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2024년 11월에 증설 공장 가동 예정으로 연말 수요 회복 확인 후 접근해도 늦지 않다는 판단임. 2) 수익추정 하향 및 Target P/E 하향: 2024년, 2025년 추정 실적 하향, 2024년~2025년 평균 EPS 기반으로, Target P/E를 코로나19이후 평균인 9.5배 적용함(기존 12배대비 20% 하향). 3) P/E 9.5배는 글로벌 Peer Group 평균 P/E 대비 30% 낮은 Valuation임. 4) 기대와는 다른 수요 흐름:  AI Capex 붐에 힘입어 전통 메모리 반도체(DRAM) 수요도 동반 호조를 기대했으나, HBM 외에..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매력적인 진입 시점 : 삼성전자(005930) - 목표주가 130,000(-) 삼성전자 - 매력적인 진입 시점 (KB증권 : 김동원)    4분기 HBM3E 매출비중 64%, +4배 증가 1) KB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만원을 유지함.  2) 이는 삼성전자가 올 4분기부터 엔비디아, AMD, 아마존, 구글 등에 HBM3E 공급 본격화가 전망되기 때문임.  3) 이에 따라 삼성전자 전체 HBM 매출에서 차지하는 HBM3E 매출비중은 3분기 16%에서 4분기 64%로 전기대비 +4배 확대될 것으로 추정됨. 4) 이는 삼성전자가 엔비디아, AMD AI 가속기 및 애플 인텔리전스 기반이 되는 구글 AI 칩 TPU (텐서프로세서유닛), 아마존 AI 칩 Traineium (트레이니움) 등으로부터 3분기 최종 인증 이후 올 4분기부터 HBM3E 공급 본격화가 예상.. 리포트/반도체 2024. 8. 15.
중장기 성장성 고려시 현재 과도한 저평가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 목표주가 38,000(▼) 이녹스첨단소재 - 중장기 성장성 고려시 현재 과도한 저평가 (NH투자증권 : 이규하)    아쉬운 스마트폰 고객사 판매 둔화 1) 국내 고객사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둔화 및 디스플레이 물량 감소 등을 고려해 실적 추정치를 낮추고 동사 목표 주가를 기존 54,000원에서 38,000원으로 하향함. 2) 중장기 실적 성장성 및 제품 다변화 등을 고려해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 PER도 글로벌 동종 업체들 밸류에이션 하락을 고려해 기존 16배에서 12배로 하향함.3) 동사는 최근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로 양호한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나, 국내 고객사 스마트폰 판매 부진 영향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함. 4) 또한 수익성 위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며 물량이 소폭 감소하는 영향도 존재함. 5) 이를 고.. 리포트/디스플레이 2024. 8. 15.
728x90
반응형